우리금천

보도자료

  1. 우리금천
  2. 금천소식
  3. 보도자료
금천구 ‘도심 속 장독대’… 전통식문화 유행 이끌며 건강도시프로젝트 완성 상세보기 - 제목,배포일,담당부서,조회수,연락처,내용,파일 정보 제공
제목 금천구 ‘도심 속 장독대’… 전통식문화 유행 이끌며 건강도시프로젝트 완성
배포일 2025-10-26
담당부서 소통담당관
조회수 30
연락처 02-2627-2002

금천구 ‘도심 속 장독대’… 전통식문화 유행 이끌며 건강도시프로젝트 완성

- 11월 9일 제1회 금천전통식문화축제 개최 -

 

 - “전통음식 통해 건강한 식문화 찾아가길… 장을 매개로 공동체 문화 형성”

 - 금천마을된장오미원 등 지역먹거리 브랜드 개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서울 금천구에서 활짝 꽃 피우고 있다.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금천 강희맹장독대’ 사업을 소개했다.

 

 금천 강희맹장독대는 조선시대 문인 강희맹 선생이 금천 지역에서 집필한 ‘사시찬요초’에 기록된 장 담그기 방식을 현대적으로 해석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구 특화 사업이다. 2019년 478명 교육으로 시작한 후 참가자가 계속 늘며 올해 상반기에만 1487명이 교육을 받을 정도로 호응이 좋다. 

 

 주요 프로그램으로 ▲ 일 년 과정으로 전통 장 담그기 실습과 바른 먹거리 관련 교육을 진행하는 ‘금천 우리 장독대’와 ‘금천 어린이 가족 장독대’ ▲ 담근 장을 활용해 요리해 보는 ‘찾아가는 강희맹 요리교실’ 등이 운영되고 있다.

 

 구는 지난 6월에는 금천 강희맹장독대 체험관을 조성했다. 주민들이 장 문화를 체험하며 전통식문화의 우수성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가공식품과 간편식의 소비 급증으로 인한 식생활 문제가 심각하다”라며 “주민들이 우리 전통음식을 통해 건강에 해답을 찾아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 구청장은 “공동체의 평화와 소속감을 일으킨다는 평가를 받아 지난해 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처럼 장을 매개로 세대 간 소통과 지역 내 나눔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라며 “사라져 가던 마을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지역먹거리 브랜드 ‘금천마을된장 오미원’ 개발>

 구는 그간 축적된 된장과 간장 제조 비법을 활용해 주민이 중심이 되는 지역먹거리 브랜드 ‘금천마을된장 오미원’을 개발하기도 했다. 

 

 금천마을된장 오미원은 국산콩 메주, 국산 소금, 정제수 단 3가지 재료로만 담가 깊고 깔끔한 맛을 자랑한다. 금천의 햇살과 바람을 맞으며 장독대에서 정성스럽게 숙성된 된장과 간장은, 바쁜 도시 생활 속에서도 안심할 수 있는 건강한 식탁을 선물한다. 

 

 구는 금천마을된장 오미원이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친환경·저탄소·순환경제를 실현하는 새로운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농산물 생산이 제한적인 도시에서 농촌의 우수한 원재료를 바탕으로 가공·소비가 순환했다는 설명이다.

 

 <전통식문화 체험… 오는 11월 9일 축제 개최>

 구는 오는 11월 9일에는 ‘제1회 금천전통식문화축제’를 연다. 금천구 개청 30주년과 한국 장 담그기 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를 함께 기념하며 전통 발효음식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고 모든 세대가 함께하는 건강한 식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푸른색, 붉은색, 노란색, 하얀색, 검은색 등 다섯 가지 색으로 공간을 나누어 전통음식에 대해 알고 만들어보는 식문화 체험관, 발효음식에 사용되는 식재료 소금과 친밀해지는 소금놀이터 등을 운영한다. 전통민속놀이, 사물놀이 공연 등을 통해서 전통문화에 대해 배워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운영하는 오감한식당을 통해서는 된장, 간장, 청국장 등의 장류는 물론 식혜, 막걸리 등의 다양한 전통음식을 계승해 운영 중인 우수한 관내업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공공누리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소통담당관
  • 전화번호 02-2627-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