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내용
사회복지
칼갈이, 우산수리 이동센터 운영
|
|
현황 및 문제점 | - 독산2동 정훈단지와 독산4동 주민센터 앞에서 칼갈이 등을 하고 계시는 분을 본 적이 있었습니다. 칼이라는 위험한 물건이 대로변에 버젓이 있는 것이 위험해 보였습니다. 한편으로는 이용하는 분들이 있으니 운영을 하시는 게 아닌지 생각해보았습니다.
- 서울시 관악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동구 등이 24년에 칼갈이 우산센터를 운영 중에 있었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서는 시의원이 시민생활밀착형 서비스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 중에 있음. 서초구에서도 25년 칼갈이 우산수리를 운영하고 있음. 금천구에서도 위와 같은 정책사업이 추진되길 희망함. |
---|---|
개선방향 | 1. · 칼갈이 우산수리 센터 운영을 위해 동주민센터와 연계하여, 주민센터 강당 등 이동수리센터 장소 마련
· 소상공인 칼, 우산수리가 가능한 전문가를 채용하거나 인근 지역자활센터, 사회적기업 (노인일자리 사업 등)과 연계하여 사업 참여자 배치 운영 2. (현황) · 칼갈이, 우산수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간단한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내 인프라 부족 · 간단한 고장에도 대부분의 생활용품이 폐기되어 생활폐기물이 증가 (개선) · 업무 협약을 통한 금천지역자활센터, 사회적 기업의 참여자 연계를 통해 동주민센터에 장소를 협조 받아 수리센터를 운영하여 오래된 칼과 고장난 우산을 고쳐서 지역주민의 편익성을 개선 · 고칠 수 없는 칼과 우산은 음식물 쓰레기봉투 등으로 교환 (기대) 생활폐기물 감소 및 탄소중립 실현 기여. |
기대효과 | - 지역주민의 일상 불편 해소 및 생활 편의 증대.
- 생활용품 재사용 활성화를 통해 자원순환형 도시로의 도모. - 지역 내 자활센터, 노인일자리사업 등 기존 일자리 연계사업 확대. |
소요예산 | ○ 인건비 = 한 달 376,928원 * 4인* 6개월 운영 : 금천형 생활임금(11,779원) * 4시간* 주 2회 운영 (11개동 순환) ※ 인건비는 자활센터, 노인일자리사업 등 기존 일자리 연계 자원 활용 시 절감 가능 ○ 운영비 · 장비 구입 = 2,400,000원 (칼갈이 기계 *500,000*2개, 우산수리 도구 * 500,000*2개, 공구함 100,000원*4개) · 소모품 비 = 1,000,000원 (우산살 손잡이 부품, 사포, 오일, 접착제 등 ) · 칼, 우산수리 폐기물 처리 비용 = 1,000,000원 (우산 500원 *1000개/칼 500원 *1000개 /중랑구 생활폐기물 수거비용 참고) · 현수막 제작 = 200,000원 ○ 예비비 = 1,000,000원 · 긴급 수리부품 구매 등 |
첨부파일 |
|
제안상태
- 01 투표대기
- 02 구민투표
- 03 실무부서 검토
- 04 채택
- 05 실현완료